코로나19 상황이 호전되면서 마스크 착용 자율화가 진행되고 있는데요. 우리나라도 3월20일부터 대중교통 이용시 마스크 착용을 자율화한다는 뉴스가 나왔습니다. 대중교통 이용시 마스크 착용이 자율화된다 해도 불안하다고 마스크를 계속 쓰는 분이 있는가 하면, 일부에서는 지속적인 마스크 착용이 건강에 좋지 않을 것이라고 벗는 것을 선호하는 분도 있습니다. 마스크를 착용하면 아무래도 숨을 코로 쉬기 어려울 때가 있고 입으로 쉬게 되면 입냄새도 나는 것 같고 불편하니까요. 실제 주변에 마스크 쓴 뒤에 치과 질환이 생긴 것 같다고 걱정하는 분도 있었거든요. 그래서 궁금해서 찾아봤습니다. 마스크효과로 검색해봤는데요. 흥미롭게 마스크와 구강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해외 글이 있어 옮겨봅니다.
마스크와 구강 건강
사이언스다이렉트와 프리미어덴탈오하이오에 따르면 마스크를 착용하면서 구강 건강에 좋지 않을 것으로 여기는 사람들이 많다고 합니다. 입으로 숨을 쉬어야 하고, 마스크를 계속 착용하면서 구취와 치과질환에 대한 인식이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기억할 것은 모든 치과의사와 관계자들이 수십 년 동안 개인 보호 장비(PPE)의 필수 부품으로 마스크를 착용해 왔다는 사실입니다. 프리미어덴탈오하이오는"우리는 매일 여러 시간 동안 마스크를 착용한 다년간의 경험을 가지고 있으므로 개인적인 경험에서 '마스크와 구강건강'에 대한 질문에 답할 수 있다"고 이야기 합니다.
마스크 착용 후 구취에 대한 인식 증가
우선 잦은 마스크 착용에 대해 환자들로부터 듣는 가장 일반적인 우려 중 하나는 구취를 느끼고 있다는 것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뭔가 잘못되었다고 걱정합니다. 하지만 자신의 구취를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은 실제로 좋은 일입니다. 그것은 당신이 자신의 입 냄새를 맡을 수 있게 해 주는데, 이것은 실제로 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식사 후 헹구거나 양치질을 해야 할 때를 알려주고 심각한 구강 건강 문제를 알려줄 수도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구취가 항상 입안에 나쁜 박테리아가 많기 때문에 생기는 결과라는 것을 깨닫지 못합니다. 심한 구취는 일반적으로 여러 치아의 큰 충치 또는 진행된 잇몸 질환과 같은 심각한 치과 질환을 나타냅니다. (치아와 잇몸이 건강한 상태에서도 입냄새가 날 수 있지만 심한 입냄새는 일반적으로 질병의 진행과 관련이 있습니다.) 치과에서는 오히려 마스크 착용 이후 사람들의 구강 위생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고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실제로 사람들이 양치질과 치실 사용을 늘이면 입 안의 나쁜 박테리아의 양을 줄이고 구취도 감소하니 좋다고 하네요.
마스크 착용시 구강 건강에 문제가 있나요?
간단히 말해서 - 아니요.
충치와 잇몸 질환 에 대한 이러한 위험 증가는 마스크 착용만으로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치과 질환의 위험은 마스크 아래의 나쁜 호흡 패턴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구강 건조에서 비롯됩니다. 우리는 이것이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일시적인 문제이며 진정으로 치과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없다고 믿습니다.마스크를 착용하면 구강 건조로 인한 플라그 축적 위험이 높아질 수 있지만 충치나 잇몸 질환을 유발하지는 않습니다. 훌륭한 구강 위생을 실천하고 좋은 칫솔질과 치실 사용 기술로 지속적으로 치태를 제거하는 사람들은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부작용을 겪지 않을 것입니다.
마스크 아래에서 눈에 띄는 구취를 경험하고 있고 1년 넘게 치과 평가를 받지 않았다면 예약해야 할 때라고 하네요. ㅎㅎ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출처: Impact of facemasks on the mouth as an emerging dental concern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양제와 약물간의 상호 작용 (0) | 2023.03.22 |
---|---|
건강식품 섭취 전 알아두면 좋은 용어 RDA,DRI,UL (0) | 2023.03.21 |
많이 먹으면 건강에 독이 되는 비타민과 영양제 (0) | 2023.03.20 |
해외직구 식품 영양성분라벨 잘 읽는 법 (2) | 2023.03.20 |
비타민 A 권장섭취량 그리고 과잉복용시 부작용 (2) | 2023.03.17 |